반응형

이재열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09 3

 

 '담장 속의 과학 : 과학자의 눈으로 본 한국인의 의식주는 기대가 무척 큰 책이었다. 먼저 전통가옥의 활짝 열어 놓은 문을 책 표지로 정한 것이 그랬다. 생명과학부 교수인 저자의 눈으로 전통 생활 양식을 과학적 지식을 통해 살펴 봄으로써, 어떤 것들이 현재 우리의 삶에 다시 가져 올 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을 지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 같았다. 이러한 기대를 가지고 이 책 담장 속의 과학을 읽어 나갔다.

 

 책을 읽으면서 먼저 접하게 되는 부분이 프롤로그(Prologue)’이다. 이 책에서는 책머리에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보통 저자가 자신의 책이 어떤 의도로 쓰여 졌는지를 간략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런데 이 책의 책머리에는 무려 10 쪽의 분량을 자랑한다. 책을 출판하기 된 계기와 의도 정도만 간략하게 해서, 10 쪽 중 마지막 2~3 장에 있는 내용만으로도 충분했을 부분을 아쉽게도 장황(張皇)스럽게 늘어 놓았다. 그래서 실제 본문을 읽어가면서 여러 차례 책머리에서자세하게 풀어 놓은 이야기를 또다시 읽을 수 있었다.

 

책의 첫머리부터 아쉬움이 컸었는데, 그 아쉬움은 책을 읽어나가도 계속 되었다. 먼저, ‘~ 것 이다.’는 추측성 표현을 책 전체에서 빈번하게 사용된다는 점이다. 그래서 읽어나가는 동안 자주 저자의 전문성을 본의 아니게 의심하게 되었다. 넓은 의미에서 앞서 언급한 프롤로그 부분의 장황스러운 서술과 같은 이야기인데, 문체가 좀 더 간결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책을 읽는 내내 들었다. 이는 책의 내용을 깊이 생각하고 떠올리면서 읽어가도 빠른 속독을 통해 금방 읽어가도 계속해서 아쉬움이 남았는데, 책을 한참 읽고 나자 간결하게 설명했으면 아쉬움이 덜 했겠다 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내용은 에 대한 이야기에서 시작한다. 사람이 살아가기에 적당한 장소를 물색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 집터, 묘터 같이 터의 범위를 좁혀 가면서 이야기는 고향집 이야기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이것은 다시 전통 문화와 전통 생활 양식 이야기로 확장된다. 그래서 의식주(衣食住)의 관점에서 크게 3가지 주제로 내용을 나누어 놓았지만, 내용과 함께 분량까지 가만 한다면 주()에 속하는 전통 가옥에 대한 이야기를 책의 전반부, 장과 김치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식()과 빨래와 옷감에 대해 이야기하는 의()를 책의 후반부 내용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앞에서 이 책을 읽어가면서 전통 생활 양식을 과학적 지식을 통해 살펴 봄으로써, 어떤 것들이 현재 우리의 삶에 다시 가져 올 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을 지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가지고 싶다고 이야기 했다. 하지만 책은 과학자의 모습보다는 사회학자가 흔히 취하는 담론의 형식으로 이야기를 풀어 나갔다. 그래서 이어령 교수의 흙 속에 저 바람 속에와 같은 책을 읽어가는 느낌에 가까웠다. 하지만, 문체의 유려함이나 전통 문화가 가치를 재조명하는 시각은 이어령 교수의 책만 못했다.

 

 

Commented by 은비뫼 at 2009/04/12 22:49
궁금한 책이었는데 솔직한 서평 잘 읽었습니다. ^^
Commented by 고무풍선기린 at 2009/04/12 22:59
제 생각을 옮긴 것이긴 했지만, 그래도 비난하는 것 같아
포스팅을 하면서 별로 유쾌하지 못했는데, 솔직하게
봐주셔서 한결 마음이 가벼워 졌습니다. ^^
Commented by 가이에다 at 2009/04/17 00:46
고무풍선기린님의 서평으로 책을 또 다시 보게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ed by 고무풍선기린 at 2009/04/17 00:50
제가 뭔가 역할을 한 것만 같아 기분이 좋습니다.
그 역할이 바람직한 것이었으면 더 좋겠네요. ^^
Commented by JNine at 2009/04/23 12:32
적어도 몇 백년을 이어 내려온 것에는 그만한 이유가 꼭 숨어 있는 것 같습니다.
굉장히 사소한 행동양식(예를 들면 현관에서 신발은 신발코가 건물 앞쪽을 향하게 벗어놓는다던지)에도 예전 생활양식을 생각해보면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더군요. 뭐, 과학기술이 발전/발달하며서 꼭 옛것을 고집할 필요는 없어지긴 했지만, 지금도 적용하면 좋을 선조들의 지혜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댓글보고 와봤는데 서평이 굉장히 많군요. 종종 들르겠습니다. 총총
Commented by 고무풍선기린 at 2009/04/23 15:34
책을 읽으면서 오랜기간에 걸쳐 생긴 생활양식 속에서 합리성을 발견하고,
과학을 통해 합리성의 정당성을 기대했는데, 기대에 미치지 못해서
아쉬움이 남는 책이었습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주 뵜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제가 방문해서요. ^^;
반응형
반응형

 

 비록 나는 보지 못했지만, 영화 ‘왕의 남자’로 인해, 여성보다 더 여성스러운 남성이 많은 곳에서 회자되고 있음을 알고 있다. 모르긴 몰라도 메트로 섹슈얼이니 어쩌니 해서 세련된 매너에 여성적인 감성 그리고 강인한 분위기 같은 모습을 두고 말하는게 아닐까 싶다. 그런 시작에서 이 연극 ‘아름다운 남자’를 논하려면 그냥 이 창을 닫아라. 놀라우리만큼 상관없으니까.


 연극 ‘아름다운 남자’는 참으로 희안한 연극이었다.  보통 연극을 본 몇 차례의 경험을 떠올려 보면, 극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보면 좀 더 쉽게 이야기를 따라 갈 수 있기는 하지만 비록 사전 지식이 없다손 치더라도 금세 이야기를 따라 갈 수 있는데 보통인데, 이 ‘아름다운 남자’는 그렇지 못했다. 무대에서 보여주는 전통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탈춤과 현장에서 바로 연주되는 고유 악기의 소리가 전통과는 친숙치 못한 내게 매우 어렵게 다가왔기 때문이다.리라.


 사실 작품만을 놓고 본다면 매우 좋다. 시대적 트렌드의 반영이라는 미명하에 20대 중후반의 여성관객의 눈높이에 맞춰 쏟아져 나오는 농담 따먹기 말고는 별다른 내용이 생각나지도 않는 그저 그런 극과는 달리 철저히 작가주의적 연극이 느낌이 강하다. 뚜렷한 자신만의 색체를 갖는 것 같아 매우 좋다. 다만, 그 덕에 관객이 다가가기가 조금 어려웠다는 점이 아쉽다.기는 하지만 다음 작품은 이 보다 더 뛰어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그런 아쉬움을 상쇄시켜 주었다.


 이야기는 TV 드라마가 아니면 흔히 접하기 어려운 고려시대 이야기다. 그 중에서도 무신시대이자 몽고의 침입으로 정치적으로 매우 혼란스러운 시기가시대가 그 배경이다. 세 명의 학승(공부하는 과정에 있는 스님) 만전, 길상 그리고 통수기의 이야기이다. 몽고군의 침입과 그들의 내정간섭, 왕인 고종보다 더 기세등등한 무인 최우 그로인해 부패한 정치와 관리들 속에서 세 명의 학승은 각기 다른 길을 선택한다. 최고의 권력자인 최우의 양자로 들어가는 만전, 이와는 반대로 무인 권력에 반한 이언년의 난에 가담해 최우를 살해하려다가 죽음을 맞이한 길상. 이 둘과는 달리 궐력 부패와 권력 싸움에 아랑곳하지 않고 오로지 팔만대장경 집필에만 몰두하는 통수기. 이들의 다른 삶은 지극히 대비되고 결국 아름다운 남자는 휘몰아치는 시류에 편승해 가는 사람들과 달리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하는 통수기를 두고 극은 아름다운 남자라고 칭하지 않나 싶다. 그 외에 이규보와 지공대사의 이야기가 나오기는 하나 극을 본지 꽤 시간이 흐른 지금 떠오르는게 별로 없으므로 패스....


 새로운 형식에 쉽게 접할 수 없는 이야기를 가지고 극을 꾸몄다는 사실은 분명 만점 감이지만 철저한 사전 지식 없이 보기에는 너무나 어려워 극 중간중간에 해설자가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연극이었다.

반응형

'Theater & Perform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 혼자사는 남자 배성우  (0) 2006.02.18
[연극] 아시나말리  (0) 2006.02.14
[연극] 사랑에 관한 다섯 개의 소묘  (0) 2006.02.02
[연극] 미라클(miracle)  (0) 2005.12.17
[연극] 고추말리기  (0) 2005.11.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