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화를 볼 때 마다 저는 종종 블록버스터, blockbuster 영화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이야기 말을 합니다.입니다. 대신 잘 짜여진 이야기, plot이 있는 well-made 영화를 좋아한다는 말을 덧붙입니다. 그렇습니다. 지금 이야기하려는 영화

'메종 드 히미코, Mezon De Himiko / メゾン·ド·ヒミコ'는 잘 짜여진 이야기를 좋아하는 제가 딱 좋아할만한     

'메종 드 히미코, Mezon De Himiko / メゾン·ド·ヒミコ'

도 이야기가 잘 짜여진 well-made 영화입니다. 이야기입니다.


사실 well-made 영화는 많습니다. 지금 이야기하려는 순전히 영화 '메종 드 히미코, Mezon De Himiko / メゾン·ド·ヒミコ'가 일본 영화라는 이유로 잘 만들어진 일본 영화로는 무었이 있을까 생각해 봤습니다. 도 잘만들어진 일본 영화입니다. 그래서 인상적이 었던 일본 영화를 생각해 봤습니다. 그랬더니 그나마 가장 근래에 본 영화로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Memories of Matsuke / われ松子一生’와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ジョゼとたち, Josee, the Tiger and the Fish 이 금세 떠오릅니다. 떠올랐습니다. 그리고 지금 이야기하려는 영화 '메종 드 히미코, Mezon De Himiko / メゾン·ド·ヒミコ'도 이들 영화에 못지 않습니다.그 속에 포함시키기에 손색이 없습니다.


이 영화는 영화 외적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을 요소가 많습니다. 먼저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ジョゼとたち, Josee, the Tiger and the Fish’와 '구구는 고양이다’를 통해 한국에도 널리 알려진 이누도 잇신, Isshin Inudou이 이 영화의 감독입니다. 또한 인기 배우 오다기리 죠, Joe Odagiri와 시바사키 코우, Kou Shibasaki가 이 영화 속의 주인공이라는 점도 사람들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끕니다. 하지만 영화에 대한 포스트인 만큼, 이들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서 줄이고 영화 이야기로 넘어가기로 하겠습니다.

 

012345678


영화는 남색(男色)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남색을 떠올리면 연상되는 왕의 남자’,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 Antique’, 그리고 ‘브로크백 마운틴, Brokeback Mountain’ 같은 영화와는 느낌이 조금 다릅니다. 먼저, 한국 영화를 생각해 보면 근래 영화 속 소재가 자유로워지면서 남색을 다루고 있는 영화가 꾸준히 제작되고 있습니다.기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사회의 일부로 포용하기 보다는 이질적인 존재로써의 관심에 머물고 있습니다. 영화 속 이야기는 일반인과 남색 간에 이야기를 다룰 만큼 성숙하지 못했습니다. 반면 미국의 경우는 우리 보다는 남색에 대해 분명 더 너그럽습니다.기는 한 것 같아 보이지만, 그렇지만 '브로크백 마운틴'을 위한한 그들의 영화를 보면 그들은 남색마저 존중해야할 개인적 취향이라는 시각이 강합니다. 일 뿐이을 보면 그래서 개인간의 사랑에 대해 집중하며 이야기를 풀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편입니다. 물론 '메종 드 히미코'에서라고 해서 남색이 주는 사회적 편견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남색이 존재하고 그들 역시 사회 구성원이라는 사실을 담담히 스크린에 펼쳐내는 모습에서 우리보다는 훨씬 남색을 현실적으로 받아들입니다. 그리고 그들도 누군가와 함께 있고 감정을 교류하는 일은 통해 행복을 느끼는 사람이라는 사실을 담담하게 이야기합니다.

남색도 모자라

한국이였다면 아직 상상하지 못했을  게이 실버타운을 배경으로 삼아 그들과 그들이 아닌 사람들 사이에 놓인 벽을 영화는 사람의 진실된 모습을 통해 조금씩 허물어 갑니다. 어딜가나 꾸밈없고 순수한 모습과 그 속에 숨겨진 외로움과 고민은 사람의 마음을 열게 합니다. 영화는 이것이 편견으로 점철된 남색과 남색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편견, 특히 사회적 편견에 대해 이 영화를 통해 많이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덧말. 2010. 2. 3. 내용의 일부를 수정함

반응형
반응형



  영화 ‘오스트레일리아, Australia’를 관람 하고 나서 들었던 첫 번째 생각은 생뚱 맞게도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흘러간다는 당연한 사실이었다. 사실 1950년대 이전 까지만 해도 오스트레일리아는 남반구에 위치한 넓은 영토의 영() 연방 국가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했다. 누구도 주목하지 않던 그 시대의 오스트레일리아서도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살고 있었으며, 비록 그 시대에서 큰 영향력을 가지지는 못했지만, 그들도 큰 영향력을 가진 다른 장소와 사건과 연계성을 가지고 있음을 아름다운 이야기를 통해 보여준다.

 


 
 
영화에 앞서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여자 주인공 사라 애슐리를 연기한 니콜 키드먼, Nicole Kidman 이다. 니콜 키드먼으로 말하면 비록 예쁜 외모와 전 남편인 톰 크루즈, Tom Cruise의 유명세로 주목을 받으며 등장하긴 했지만, 영화 ‘아이즈 와이드 셧, Eyes Wide Shut’을 시작으로 ‘물랑루즈, Moulin Rouge 그리고 ‘디 아워스, The Hours 같은 영화에 출현하면서 예쁜 외모에 뛰어난 연기까지 겸비 했다는 찬사를 들으며 최고 스타 반열에 올라섰다. 하지만 도회(都會)적 느낌의 그녀가 과연 문명의 중심에서 벗어난 변두리에서 빛을 발할 수 있을까 알 수 없었다.  남자 주인공인 소몰이 꾼은 영화 ‘엑스맨, X-Men’에서 울버린, Wolverine으로 스타로 떠오른 휴 잭맨, Hugh Jackman이 맡았다. 휴 잭맨 은 ‘엑스맨’이 배출한 걸출한 스타이기는 하지만, 빅 스타의 반열에 오르기에는 아직 미흡한 점이 있는데 다가, ‘엑스맨’에서 이미지가 너무 강하게 남아 있어서 CG(computer graphic)없는 모습을 떠올리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솔직히 말해, 니콜 키드먼과 휴 잭맨의 조합은 사실 영화를 보기 전까지만 해도 뭔가 언밸런스(unbalance)해 보였다. 하지만 실제로 영화를 관람하기 시작하자 내 예상은 순전히 기우(杞憂)에 불과했다는 사실을 금세 알아차릴 수 있었다.

 

이제 영화 속 이야기를 시작해 보자. 영화는 호주가 영 연방국가가 되고 나서 백인들을 위해 일하도록 교육 받은 ‘빼앗긴 세대(stolen generation) 불리어 원주민에 대한 내레이션(narration)에서부터 시작한다. 그것은 마치 이 영화 ‘오스트레일리아’가 원주민 인권(人權)에 크게 주목하고 있고, 원주민의 인권회복이 영화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게 했지만, 실제 영화 속 이야기는 처음에 설정했던 원주민 문제에만 집중하지 않는다. 오히려 로드 무비 형식의 사랑 이야기가 갖는 비중이 더 크다. 하지만, 처음에 설정했던 원주민들의 인권에 관심도 니콜 키드먼과 휴 잭맨 보여주는 이야기 하부에서 명맥을 영화 후반부까지 계속 이어가며, 유색 인종과 혼혈에 대한 사회적 관념을 극복해 가는 성장 영화로써의 모습도 보여 준다.

 

 
영화는 속 이야기는 영국에서 연락이 끊긴 남편을 찾아 사라 애슐리가 호주의 ‘다윈’에 도착하면서 시작된다. 하지만 사라를 기다리는 것은 남편이 아닌 남편의 죽음과 외진 곳에 위치한 농장 파어웨이 다운즈, Faraway downs, 1500마리의 소 그리고 혼혈 소년 눌라를 포함한 농장 식구들이다. 이렇게 해서 사라는 문명화된 영국 귀족의 삶에서 급작스럽게 광활한 호주 자연 속의 삶을 영위하게 되지만, 남편의 뜻을 이어 파어웨이 다운즈를 호시탐탐(虎視眈眈) 노리는 킹 카니와 닐 플레처 일당에게서 농장을 지켜야 하는 탓에 불만을 토로(吐露)할 새도 없다. 미군에게 소 떼를 팔아 농장을 지켜 나가기 위해 농장 식구들과 소몰이꾼과 함께 소 떼를 이끌고 다윈을 향하는 여정을 시작한다. 그렇지만, 여정은 카니와 플레쳐의 방해로 어려움에 직면하지만, 눌라를 비롯한 일행의 헌신으로 어려움을 이겨내고 카니와의 군납 경쟁에서 승리한다. 소 떼를 이끄는 여정은 단순히 농장을 지켜내는 것에 사라를 머물게 하지 않는다. 사라는 호주가 품은 대자연의 아름다움과 소몰리꾼의 열정 그리고 눌라와의 강한 유대감까지 함께 얻기 때문이다.

 

협잡(挾雜)꾼의 농간(弄奸)으로 눌라가 인종 정책으로 인해 다른 혼혈 아이들과 함께 격리 수용되기는 하지만 그래도 매우 평화로운 대지 위에서 호주만의 이야기로 흘러가던 이야기는 갑자기 호주를 시대의 흐름에 동참시킨다. 영화 속에서 일본군의 미국 진주만 폭격에 대한 언급이 나오자마자, 호주에 주둔하는 미군을 폭격하기 위해 일본 폭격기가 마치 미이클 베이, Michael Bay 감독의 ‘진주만, Pearl Harbor’을 연상시키며 등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는 갑작스럽게 로드 무비 스타일의 영화는 전쟁을 위시한 재난 영화로 바뀌어 버린다. 그러면서도 혼혈 원주민에 대한 인식 변화의 끈은 놓지 않아서 영화 첫머리에 설정했던 성장 영화로써의 모습도 잊어버리지 않는다.  

 

 
영화 속 이야기는 종종 눌라와 그의 할아버지 킹 조지가 펼치는 주술에 의해 전개되는데, 그 장면의 전개와 느낌이 영화 향수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Perfume : The Story of a Murderer’와 일루셔니스트, The Illusionist’를 떠올리게 했다. 또한 일본군의 공급 모습은 앞서 영화 ‘진주만’을 떠올리게 한다는 이미 한 바가 있고, 파어웨이 다운즈와 광야 속 나무의 모습은 팀 버튼, Tim Burton ‘빅 피쉬, Big Fish’를 떠올리게 했다.


 

 하지만, 남편이 죽은 지 얼마 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연인을 맞이 한다거나, 원주민의 주술을 지나치게 신비화 해서 이야기를 펼쳐나가는 모습에서는 확실히 우리 정서와는 동떨어진 부분이 있다는 점을 새삼 알 수 있었다. 또한 너무 긴 상영시간은 좀 더 압축적인 편집을 아쉬웠고, 두루뭉실 여러 장르를 함께 펼쳐가는 탓에 이야기가 산만하며 개별적인 요소에 대한 집중력도 떨어진다.

 

이 영화 ‘오스트레일리아’의 감독 바즈 루어만, Baz Luhrmann 에 대한 언급을 뺄 수 없다. 비록 바즈 루어만이 많은 영화를 만드는 감독은 아니지만 ‘댄싱 히어로, Strictly Ballroom), ‘로미오와 줄리엣, Romeo + Juliet, 그리고 ‘물랑주즈, Moulin Rouge’까지 화려한 색상과 영상미를 통해 재미난 이야기를 펼쳐나가는 이야기꾼의 모습을 충분히 전작을 통해 보여주었다. 이 영화 ‘오스트레일리아’역시 명불허전(名不虛傳)이 괜한 말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반응형
반응형
 영화 'The Piano, 피아노'는 몇 가지 즐거움을 주는 영화다. 즐거움을 가지기에 충분한 탄탄한 스토리에 아다 맥그래스를 연기한 Holly Hunter 홀리 헌터와 조지 베인즈를 연기한 Harvey Keitel 하비 케이틀의 뛰어난 연기, 그리고 'The Piano' 라는 제목이 암시해주는 영화 속 피아노 음악 소리가 바로 그것이다.

 역시 깐느와 아카데미에서 선택하기에 모자람이 없구나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말을 하지 못하는 대신 자신의 심정을 피아노 선율로 들어내는 아다, 예쁜 아내를 사랑하지만 진정으로 이해하지는 못하는 남편 스튜어트 그리고 그저 단순한 원주민인 줄만 알았다가 그렇지 않다는 걸 보여주는 배인즈 간의 슬프고도 예쁜 그리고 잔인한 사랑이야기가 바로 이 영화 'The Piano'이다.

 의상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영화가 진행됨에 따라 변화는 아다의 심정과 그녀의 심정을 간접적으로 표현해 주는 그녀의 의상도 살펴 볼 꺼리가 될 것 같다.




                                     &


        겨울 강가에서

                                 - 안 도 현

어린 눈발들이, 다른 데도 아니고
강물 속으로 뛰어내리는 것이
그리하여 형체도 없이 녹아 사라지는 것이
강은,
안타까웠던 것이다

그래서 눈발이 물 위에 닿기 전에
몸을 바꿔 흐르려고
이리저리 자꾸 뒤척였는데
그때마다 세찬 강물 소리가 났던 것이다

그런 줄도 모르고
계속 철없이 철없이 눈은 내려,
강은,
어젯밤부터
눈을 제 몸으로 받으려고
강의 가장자리부터 살얼음을 깔기 시작한 것이었다
반응형
반응형
 가끔가다 뭔가 잘 만든 좋은 영화 같은데 정확히 뭐가 좋은 건지 잘 구분이 가지 않는 영화를 볼 때가 있다. 이런 느낌이 희망과 절망, 행복과 죽음 그리고 진실된 사랑의 감정이 가득한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을 보면서 그대로 들었다.

 사실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는 사실 별로 영화 제목 같은 않다. 그냥 명사 나열의 느낌 정도. 그렇지만 이 제목에는 프랑소와즈 사강의 소설에 나온 여주인공의 이름인 조제로 불리고 싶어하는 쿠미코(Ikewaki Chizuru)와 조제가 좋아하는 사람이 생기면 보고 싶어하는 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동물 호랑이 그리고 조제의 환상 속에서 자기자신을 투영해낸 존재인 물고기가 다 들어있다. 그러면서 조제에게 다가올 사랑과 결국은 조제가 처한 현실을 상징적으로 알려준다.

  영화는 러브 스토리다. 그렇지만 그 속은 매우 독특하다. 그냥 또래의 여자를 좋아하고 섹스도 적절히 즐길 줄 아는 평범한 대학생인 츠네오(Tsumabuki Satoshi)와 불편한 다리 때문에 할머니가 끌어주는 유모차를 통해서만 겨우 세상을 볼 수 있고 버려진 책을 주어 읽는 것이 삶의 큰 즐거움인 조제. 평범하지 않은 그 둘의 귀엽고도 애달픈 사랑 이야기다.
보통 커플 같았으면 남녀가 만나 사랑하게 되고 시간이 흘러선 헤어지는 진부한 이야기가 되기 십상이었겠지만 그런 진부함을 뛰어넘어 사랑을 둘러싼 잔잔한 일상을 잘 보여주고 있고 그런 일상에 섬세한 감정의 변화 또한 잘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앞으로 다시는 만날 일이 없을 걸 알면서도 너무나도 일상스러운 조제와 츠네오의 이별은 너무 담담하고 간결해 보는 이로 하여금 되려 당혹스럽게 한다.

 전체적으로 잘 만든 영화.



                                     &


석양(夕陽) - 대부도에서
                      - 김 영 환
그대에게 가는 길을 나는 아직 잘 모른다

왜 그대가 하필이면
우리 앞에 길을 열고
제 몸을 태우는지

바다 위에 그림자처럼
제 몸을 누이고
다가설 수 없는 길을 열어
지친 영혼을 유혹하고 있는지

나 또한 그대처럼 몸을 사르고
푸른 바다 위에
바람을 타고
生을 훌쩍 넘어서야 다가설 수 있을까

그대는 우리가 건널 수 없는


다만 오늘
바다로 난 길을 터벅터벅 걸어가고 있을 뿐

하염없이
갈대 한 잎 제 몸을 흔들고 있을 뿐
반응형
반응형



 Fight Club’, 영화 제목으로는 아주 시시껄렁하게 느낌이었다. 미국 사람들이 만든 거로 봐서 미국 마피아들의 이야기 정도려니 하며 치부하고 말았다. 정도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를 보게 된 건 오로지 Edward Norton 때문이었다. 비록 ‘The Italian Job’ ‘Frida’ 에서야 그의 존재를 인식했고 의식하지도 못했지만 ‘American History X’ '25th Hour’에서 그의 진면목을 알았지만, 모습은 영화 속 그의 모습은 너무나 인상적이서었던 터라 정말 시시껄렁한 제목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 ‘Fight Club’을 본 건 오로지 Edward Norton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지금 ‘Fight Club’은 보고 난 지금은 보기 전과 제법 다르다. 그전부터 가지고 있었던 Edward Norton의 인상적인 연기는 두 말할 나위도 없고,여지까지 그다지 매력을 느끼지 못했던 Brad Pitt와 아쉽게도 별로 재미있게 보지 못했던 ‘Se7en’의 감독으로만 생각하고 있던 David Fincher에 대한 이미지를 일거에 바꾸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영화를 보면서 즐기는 즐거움도 근래 봐왔던 어떤 영화보다 컸다. 심지어는 영화 초반부에 Norton이 연기한 잭이 자신의 집의 IKEA 가구를 소개하면서 나왔던 자막을 처리했던 부분이나 Pitt가 연기한 더든이 영화 필름을 영화관에서 상영하면서 1컷씩 삽입하는 필름을 직접 영화 속에도 집어 넣는 표현 방식까지 내게는 큰 즐거움이었다. 거기에 영화가 가지고 있는 치밀한 Plot까지 그야말로 근래에 본 영화 중 최고의 작품이었다는 말이 아깝지 않다.


 1999년 작임을 가만하면 내가 너무 늦게 안 건 아닌가 싶기도 하다.


 한마디 덧붙이면 이 영화를 보고 나서 생각한 건데, 내가 집착하는 영화를 보면 대체적으로 기억에 관한 거나 분열된 자아에 관한 내용인 것 같다.


이 영화 ‘Fight Club’ 물론 그런 범주에 포함된다.




                                  &

 



고독이 사랑에 닿을 때


                               - 김 영 수


가난하지만 쓸쓸해 보이지 않는 사람이 있다.
그는 이미 풍요로움으로 채워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고독하지만 전혀 서글퍼 보이지 않는 사람이 있다.
그는 이미 행복한 사람으로 드높아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말이 없지만 전혀 답답해 보이지 않는 사람이 있다.
그는 이미 평화의 사람으로 투명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름을 알아주는 이가 없으나 결코 낮아 보이지 않는 사람이 있다.
그는 인간적으로 이미 순수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가만히 앉아 있지만 놀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 사람이 있다.
그는 이미 신비한 사람으로 살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결함이 있지만 그것이 결함으로 보이지 않는 사람이 있다.
그는 이미 세속의 틀 따위를 뛰어넘은 사람으로
우뚝 서 있기 때문일 것이다.


나이가 많지만 늙었다는 느낌을 주지 않는 사람이 있다.
그는 정녕 싱싱하고 젊은 영혼의 사람이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어디쯤 서서 그들을 바라보고만 있는가.
나는 관찰자 아닌 주인공이 될 수는 없는가.




 Linked at 고무풍선기린의 Contrapo.. at 2009/03/12 01:24 x

... 영화 ‘일루셔니스트, The Illusionist’는 내가 좋아할 만한 영화다. 환상적인 마술이 영화의 소재가 된다는 점과 더불어 영화 ‘파이트 클럽, Fight Club’ 에서 시작해 ‘아메리칸 히스토리 X, American History X’, ‘25시, 25th hour’, ‘프리다, Frida’, 그리고 ‘이탈리안 ... more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의 파이터  (0) 2004.12.02
늑대의 유혹  (0) 2004.12.01
가필드 : 더 무비, Garfield : The Movie  (0) 2004.11.23
사랑에 빠지는 아주 특별한 법칙, Laws of Attraction  (0) 2004.11.21
거미숲  (2) 2004.11.20
반응형
전두환 전 대통령이 퇴임 후 쫓겨나다시피 기거하게 된 백담사. 그래서 어린 시절 내가
그런 사찰이 있다는 걸 알 정도로 유명해진 백담사, 그 백담사에서 약 10㎞ 정도
떨어진 곳에 백담사 부속 암자가 있다. 신라 선덕여왕 시절 자장(慈藏:590~658)
스님이 선실(禪室)을 지은 뒤, 관세음보살이 언제나 함께 있는 도량이라는 뜻으로
관음암(觀音庵)이라고 하였다. 1445년(조선 세조 1)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이
이 곳에서 출가하였고, 1548년(명종 3) 보우(普雨)가 이 곳에서 기도하다가 문정왕후에
의해 선종판사로 발탁되었다. 1643년(인조 21) 설정(雪淨)이 중건하고 오세암으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름을 바꾼 데 따른 전설이 전하고 있다.

설정이 고아가 된 형님의 아들을 이 암자에서 키웠는데, 어느 날 월동 준비를 하기
위해 혼자 양양까지 다녀와야 했다. 그 동안 혼자 있을 4세된 어린 조카를 위하여
며칠 동안 먹을 밥을 지어놓고, 조카에게 밥을 먹고 난 뒤 법당에 있는 관세음보살상에게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이라고 부르면 잘 보살펴줄 거라고 일러주고 암자를 떠났다.
그러나 설정은 밤새 내린 폭설로 이듬해 눈이 녹을 때까지 암자로 갈 수 없게 되었다.
눈이 녹자마자 암자로 달려간 설정은 법당에서 목탁을 치면서 관세음보살을 부르고
있는 조카를 보게 되었다. 어찌된 연유인지 까닭을 물으니 조카는 관세음보살이
때마다 찾아와 밥도 주고 재워 주고 같이 놀아 주었다고 하였다. 그때 흰 옷을 입은
젊은 여인이 관음봉에서 내려와 조카의 머리를 만지며 성불(成佛)의 기별을 주고는
새로 변하여 날아갔다. 이에 감동한 설정은 어린 동자가 관세음보살의 신력으로
살아난 것을 후세에 전하기 위하여 암자를 중건하고 오세암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가 내가 좋아하는 동화 작가 정채봉에 의해 오세암이란 동화로 세상에 다시 나왔다. 그리고 그 동화가 결국 영화 ‘오세암’으로 까지 나오게 했다.

사실 오세암의 첫 인상은 그다지 좋지 못했다. 근래 보통 접하게 되는 애니메이션의
경우 실사 인지 애니메이션인지 구분이 쉽지 않을 만큼이 보통인데 평면적인 느낌의
림에다가 등장인물이고 등장하는 것들도 특별히 그림으로 잘 표현한 것 같지도 않았다.
그래서 재미없는 애니메이션 또 하나 만들었구나 싶었다.

그렇지만, 계속해서 보는 도중에 생각이 바뀌었다. 비록 주인공 길손의 애니메이션에서
행동이나 그 목소리, 모두에서 과장됨이 보이긴 했어도 이야기가 너무나 진솔한 탓이었다.
좋은 영화도 애니메이션도 결국은 그 이야기에 달려있다는 걸 다시금 보여 주었다.

그러나 좋은 이야기에 재치있고 뛰어난 그림이면 금상첨화(錦上添花).
적어도 헐리웃 애니메이션의 준하는 정도의 그림이 되었다면 더 설득력이 있게 다가오지
않았을까.

관세음보살을 외며 성불한 5살의 길손이가 마음을 다해 엄마를 찾아 부르는
애니메이션 ‘오세암’


                                        &



  봄비 내리는 길목에서
                                   - 김 윤 진

와이퍼 도리질하며 달리는 차들은
숨을 쉬지 않는다
지나는 풍경들이 가버린 계절만큼
귓가에서 웅웅거리며 멀어져 가고
수면 위로 흔들리는 불빛은
기습적일 만큼 현란하다
매혹적인 봄의 거리에서
깊은 심호흡을 하면
나는 맨발처럼 가벼워진다
봄이 오는 길목에는
풀잎 기지개 켜고
바동대는 물줄기는
우르르 대지 위로 안겨든다
선명하게 두드러지는 봄의 행진
어둠과 대립되는 흰빛이
물비린내 나는 빗 사이를 이탈하여
서서히 땅거미 지는
가슴 속 나지막이 속삭이는 꿈이 된다
그것은 비로소 환해지는
절절한 나의 바람 같은 빛이었다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시, 25th Hour  (4) 2004.11.04
바이커 보이즈, Biker Boyz  (0) 2004.10.26
투 가이즈  (0) 2004.10.23
엑스맨 2, X-Men 2  (2) 2004.10.18
아이, 로봇, I, Robot  (0) 2004.10.17
반응형
영화를 좋아한다지만 무성영화를 본 것은 찰리 채플린의 몇몇 작품이 전부였다.
설사 보고 싶어도 쉽게 구할 수가 없었는데, 이번에 1927년 작 ‘The General'을
접하게 되었다.

‘The General' 역시 찰리 채플린의 영화와 비슷한하게 코미디 영화다. 사실 음성을
배제한 채 사람들에게 감정을 전달하기에 그나마 코미디가 편하게 보였을
듯 싶다. 무성영화로써 가지는 전달의 한계로 인해 이야기 전개는 필연적으로
단순할 수 없는 것 같고 그런 단순한 이야기 전달이 이 영화에서도 마찬가지다.


대체로 사람들은 승자의 눈으로 보기 보다는 패자의 눈으로 보여지는 것들을
더 선호하곤 하는데 그런 이유에서인지 남북전쟁 중 남군의 입장에서 본 이야기
이다. 전쟁이 일어나고 군대에 입대하려하지만 기관사라는 직업으로 군대보다
직업에 더 충실해야 한다며 입대 시켜주지 않자 여자친구에게 절교를 당하지만
결국은 기차를 되찾음으로써 모든 사건을 해결한다는 간단한 줄거리다.

제목인 ‘The General'은 주인공이 모는 기차의 이름이기도 하고 주인공이 북군의
진지에 갔다가 어쩌다가 생포해온 장군이기도 하다.
무성영화로 자칫 재미없을 것 같지만 지금 봐도 재미있는 영화
'The General'



                                    &


             쾌락에 대하여
                                                 - Kahlil Gibran

그러자 해마다 한 번씩 그 도시를 찾는 한 은자(隱者)가 물었다.
"우리에게 쾌락에 대해 말씀해 주소서." 은자가 말했다.
쾌락이란 자유의 노래,
그러나 자유는 아니다.
그것은 당신이 가진 욕망의 꽃피움,
그러나 욕망의 열매는 아니다.
그것은 정상(頂上)을 향해 소리치는 심연(深淵),
그러나 깊은 것도 높은 것도 아니다.
그것은 날개를 달고 있으나 갇혀 있는 것,
그러나 사방이 막혀 있는 공간은 아니다.

진실로, 쾌락이란 자유의 노래이다.
그래서 기꺼이 당신들이 마음껏 쾌락으로 노래하게 하고 싶다.
하지만, 당신들이
그 쾌락의 노래 빠져, 마음을 잃게 하지는 않으리라.
반응형
반응형

 영화든 소설이든 이런 것들이 존재하는 가장 근원적인 이유는 바로
자신이 모르는 뭔가 새로운 이야기에 대한 사람들의 호기심이다.
이런 이유에서 영화 'The Butterfly Effect'는 참으로 오랜만에 영화
내용에 빠져 본 재미난 영화였다.

 'The Butterfly Effect'의 기본 줄거리는 기억을 통한 과거로의 회기가
가능한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사실 이런 식의 과거로의 회기가 전혀
비과학적이고 얼토당토 않은 이야기지만 이건 재미있게 즐기면 되는
영화임을 가만하면 그런 비과학적인 면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주인공 에반은 문득문득 자신이 기억하지 못하지만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행동을 한다. 나중에 알고 보면 그 행동들은 미래의
자신이 현재의 자신으로 돌아와 하는 행동이었음을 알게 되는데
에반은 이렇게 자신의 일기장을 매개로 과거로 돌아갈 수 있음을
알게 된다.

 그렇지만 제목이 시사하는 바대로 과거로 돌아가 한 가지 사건을
바꾸면 그로 인해 너무나 많은 점들이 달라지는 것을 알게 된다.
자신이 좋아하는 밀러가 죽기도 하고, 아니면 삶의 나락에 떨어져
허우적거리기도 하고 혹은 자신의 어머니가 폐암에 걸리기도 한다.

 과거로 회기함으로써 생기는 자신이 예기치 못한 사건들에 대해
얼킨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것이 이 영화 'The Butterfly Effect'의
내용이다.

 간만에 영화다운 영화를 본 느낌을 준 영화 'The Butterfly Effect'


                                         &

   시간의 게으름
                                        - 정 현 종

나, 시간은,
돈과 권력과 기계들이 맞물려
미친 듯이 가속을 해온 한은
실은 게으르기 짝이 없었습니다.
(그런 속도의 나락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보면
그건 오히려 게으름이었다는 말씀이지요)

마음은 잠들고 돈만 깨어 있습니다.
권력욕 로봇들은 만사를 그르칩니다.
자동차를 부지런히 닦았으나
마음을 닦지는 않았습니다.
인터넷에 뻔질나게 들어갔지만
제 마음속에 들어가보지는 않았습니다.

나 없이는 아무것도
있을 수가 없으니
시간이 없는 사람들은 실은
자기 자신이 없습니다.
돈과 권력과 기계가 나를 다 먹어버리니
당신은 어디 있습니까?

나, 시간은 원래 자연입니다.
내 생리를 너무 왜곡하지 말아주세요.
나는 천천히 꽃 피고 천천히
나무 자라고 오래 오래 보석 됩니다.
나를 <소비>하지만 마시고
내 느린 솜씨에 찬탄도 좀 보내주세요.
반응형

'Cine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는여자  (0) 2004.09.26
그놈은 멋있었다  (0) 2004.09.26
콜드 마운틴, Cold mountain  (0) 2004.09.24
실미도  (0) 2004.09.23
10일 안에 남자친구에게 차이는 법, How to Lose a Guy in 10 Days  (0) 2004.09.21

+ Recent posts